양씨 (제주) [STB영상]

한국주요성씨


양씨 (제주) [STB영상]

세계성씨총연맹본부 0 2,804
제주도의 대표 성씨 하면 고高, 양梁, 부夫 3성姓입니다. 이 세 개 성씨는 한라산 북쪽 삼성혈의 신화로 탄생한 고을나高乙那, 양을나良乙那, 부을나夫乙那라고 하는 삼신인으로부터 시작됩니다. 이번 시간에는 제주濟州 양梁씨와 부夫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 25번째로 많은 성씨가 양씨입니다. 양씨는 제주 양씨, 남원 양씨, 충주 양씨 등이 있으며, 모두 양을나를 시조로 모시는 제주 양씨에서 분관이 된 것입니다. 양씨는 원래 어질 량良을 쓰다가 중시조 양탕이 신라에 입조하면서 들보 양梁 자로 쓰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후 고려 때까지 良과 梁을 함께 사용하다가 현재는 들보 양梁 자만 쓰고 있습니다. 제주 양씨는 어떤 성씨인지 알아보겠습니다.
 

202106_2131.jpg

양씨의 계통과 분파


양씨는 2015년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제주 양씨 14만 2천여 명, 남원 양씨 30만 7천여 명 해서 국내에 약 46만여 명이 살고 있습니다. 이 중 44%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고, 본향인 제주도에는 전체 양씨의 5%만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주 양씨의 본관별 계파를 보면 고려 태조 때 성주왕자를 봉작받은 양구미를 파조派祖로 하는 성주공파와 고려 명종 때 유격장군이 된 양보숭을 파조派祖로 하는 유격공파가 있습니다.
 

202106_2132.jpg


202106_2141.jpg

양씨의 집성촌


집성촌은 제주도뿐만 아니라 전국에 흩어져 있는데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봉리는 조선 중종 14년 기묘사화 때 조광조와 뜻을 함께한 양팽손이 낙향하여 살던 곳으로 지금도 후손들이 많이 살고 있으며, 양팽손의 아들 양응정은 대사성을 지낸 후 처가妻家가 있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박뫼 마을에 정착하여 살았는데 이곳 또한 제주 양씨의 집성촌입니다.
 

202106_2142.jpg

제주도에는 제주시 애월읍 상가리와 서귀포시 남원읍 신례리가 대표적인 집성촌입니다. 서귀포시 남원읍 신례리에는 600년 역사를 가진 제주 양씨 집성촌이 있습니다. 고려 말엽 중랑장을 지낸 양홍의 후손인 양윤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집성촌이 형성됐는데 마을 전체 가구 중 80%가 양윤의 후손입니다. 인근 150만 평 밀감밭은 대부분 양씨 문중 소유인데 이 마을은 우리나라 밀감 재배의 원산지이기도 합니다. 조선 영조 때 제주 목사 이형상이 쓴 탐라순력도를 보면 왕실에 감귤의 일종인 당유자를 진상하는 곳으로 신례리의 과원果園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양씨의 시조, 양을나


양씨 시조는 제주도 삼성혈三姓穴에서 나와 탐라국을 개국한 양을나良乙那이다. 중시조 남라국주 양탕이 신라 내물왕 때 입조하여 선린외교를 하였고, 그때부터 양良 성姓을 양梁 성姓으로 쓰게 되었다. … 이처럼 제주, 남원, 충주로 본관이 나누어졌으나 근원은 한 뿌리에서 내려온 혈족이다. - 뿌리공원 『제주 양씨 조형물』 中


 

우리나라 양씨의 시조는 탐라 개국신화에 등장하는 삼신인 중 한 사람인 양을나良乙那입니다. 양을나로부터 시작된 제주 양씨는 서기 685년 통일신라 신문왕 5년에 양순梁洵이 신라 국학에 수학하고 장원급제한 뒤에 한라군에 봉해지면서 ‘제주’를 본관으로 쓰기 시작했습니다.
 

제주 양씨의 역사 속 주요 인물


제주 양씨의 역사 속 인물들을 살펴보겠습니다.
 

202106_2151.jpg

조선 시대 인물로 학포 양팽손이 있습니다. 양팽손은 1510년 중종 5년 조광조와 생원시에 합격하고 1510년 문과에 급제하게 됩니다. 하지만 1519년 10월 훈구파에 의해 조광조, 김정 등을 비롯한 신진파들을 숙청하는 기묘사화 때 관직을 잃고 고향인 전라도 화순군 쌍봉리로 낙향하게 됩니다. 고향에서 학포당을 짓고 은둔 생활을 하는데 고락을 함께한 조광조가 이곳에 유배 와서 사약을 받고 죽자 아무도 돌보지 않는 그의 시신을 직접 나서서 수습하게 됩니다. 양팽손은 그림에도 일가견이 있는데 안견의 화풍을 이은 산수도는 사림의 예술 세계를 보여 주는 몇 안 되는 그림 가운데 하나입니다. 양팽손은 사후 죽수서원에 배향되었고, 1818년에는 순천의 용강서원에 추향됩니다.
 

202106_2152.jpg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양한묵은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유일하게 옥중 순국한 인물입니다. 1862년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영계리에서 출생하였는데 양팽손의 12대손입니다. 이 가문은 상당한 재력을 갖춘 명문가였으며, 선행을 많이 베풀어 해남에서 평판이 매우 좋았다고 합니다. 20대 초 지방의 세무관으로 일할 때는 참수당하는 위험에 처한 동학군들을 많이 구해 주었다는 일화도 있습니다. 이후 양한묵은 세계 정세를 살피기 위해 베이징과 일본 동경을 여행하게 되는데 이때 일본에서 망명 중이던 천도교의 교주 손병희를 만나 천도교에 입교하게 됩니다. 그리고 입헌군주제의 실시를 위한 헌정연구회를 설립하고 계몽운동을 전개하게 됩니다. 특히 헌정요의를 저술하여 1905년 7월 15일부터 8월 3일까지 황성신문에 연재하기도 합니다. 1919년 3.1운동을 일으킬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했으며, 독립선언 직후 서대문 감옥에 수감되고 석 달 뒤 58세의 나이로 순국합니다. 현재 해남군 옥천면 영신리 마을에 있는 양한묵의 생가는 기념관이 세워져 독립운동의 교육장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202106_2153.jpg

그리고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이었던 양기탁이 있습니다. 누구보다도 독립운동에 헌신한 인물로 평안남도 평양에서 태어나 어려서 한학을 공부했고 자라서는 영어 공부를 하며 일찍이 서학 문물에 눈을 뜨게 됩니다. 20대에는 미국인 게일 박사가 한국 최초의 한영자전을 편찬하는 데 참여했고, 만민공동회 간부로도 활동했습니다. 1904년 7월 영국인 기자 베델과 함께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하고 항일 의식 고취에도 앞장서게 됩니다. 또한 별도로 발행된 대한매일신보 영문판은 일제의 침략과 한국의 독립 의지를 세계에 알리는데 획기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
 

202106_2161.jpg


202106_2162.jpg


202106_2163.jpg

양기탁은 여기에 머무르지 않고 1907년 안창호, 이회영 등과 함께 국권 회복을 위한 비밀결사 단체인 신민회新民會를 조직하고 항일 운동을 전개하게 됩니다.
이후 여러 차례 투옥되는 과정에도 불구하고 곳곳에서 독립운동을 이어 갔으며, 특히 만주의 3부인 참의부·정의부·신민부 통합을 이끌며 일제와의 무력 투쟁에도 앞장섭니다. 이후 1934년 국무령이 되어 임시정부의 활성화와 민족 대동단결을 위해 노력했으나, 오랜 망명 생활과 과로로 병을 얻어 1938년 중국 강소성江蘇省 율양栗陽에서 요양 중 68세의 일기로 생을 마감하게 됩니다.
 

202106_217.jpg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Hot

가씨 (소주)

세계성씨총연맹본부 0    1,990
Hot

감씨 (회산) (창원)

세계성씨연맹 0    2,282
Hot

강씨 (신천)

세계성씨연맹 1    1,269
Hot

강씨 (진주) [STB영상]

세계성씨총연맹본부 0    2,478
Hot

강씨에서 파생된 성씨들

세계성씨연맹 0    1,414
Hot

견씨 (황간) (상주)

세계성씨연맹 0    1,962
Hot

경씨 (청주)

세계성씨연맹 1    1,435
Hot

계씨 (수안)

세계성씨총연맹본부 0    2,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