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갖출 구具 자를 쓰는 구씨具氏는 2015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능성 구씨綾城具氏 108,209명, 능주 구씨 62,574명, 릉성 구씨 1,460명, 창원 구씨昌原具氏 13,339명, 회산구씨 2,762명, 기타 구씨 4,736명 등 총 193,080명이다. 능성 구씨와 창원 구씨에 대해 알아보자.
능성 구씨綾城具氏의 연원
시조는 구존유具存裕
능성 구씨의 시조는 구존유具存裕, 고려 문괴文魁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검교상장군檢校上將軍에 올랐던 사람이다. <병인보丙寅譜> 세록 편을 보면, 송宋나라가 몽고(원元)에게 패망하자, 구존유는 고려 고종 11년 엽공제葉公濟·진조순陳祖舜 등 7학사와 함께 우리나라에 망명하여 전남 나주의 옛 이름인 금성錦城에 정착하였다. 그 뒤 원元이 이들 망명객을 추적하자, 그는 적덕積德으로 이름을 고쳐 능주綾州(능성綾城) 노정리老亭里에 숨어 살았다고 한다.
그의 배필은 능성 주씨綾城朱氏로, 장인은 주잠朱潜인데 송나라 사람으로 호는 청계淸溪이고 한림학사를 지냈다. 주청계朱淸溪의 딸이 구존유에게 출가하면서 능성 구씨 번영의 기틀을 세우게 된 것이다. 유명한 회암晦菴 주희朱熹(주자朱子)는 처고조가 된다.
능성 구씨의 시조인 구존유는 주잠의 딸과 결혼하고 생활 터전을 능성에 두게 되면서 관향을 능성으로 정하게 된 것으로 보이며, 이에 비추어 판단해 보면 능성 구씨는 13세기에 시작되었다 할 것이다.
능성 구씨는 토착 성씨
이와는 달리 구씨가 중국에서 건너온 성씨가 아니라 우리나라 토착 성씨라는 주장도 있다. 백제 멸망 시 나주에서 포로로 잡혔던 백제 장군 구도具道의 아들 단서端舒가 있고 궁예의 태봉국 시중으로 임명되었던 구진具鎭이라는 사람도 있었던 사실이 『고려사高麗史』에서 확인된다. 그리고 결정적인 부분은 중국 측 주朱씨의 기록에는 구존유가 고려인으로 기록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 현재 중국에는 구씨具氏 성을 가진 씨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리고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능성현綾城縣 토성土姓 조條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능성현綾城縣 성씨姓氏 조條에는 구씨가 능성현의 가장 대표적인 성씨로 되어 있다. 따라서 구존유 이전에도 구씨는 능성현의 토착 성씨로 살아왔다고 판단된다.
씨족사의 개요
능성 구씨綾城具氏가 세족世族으로 자리 잡기까지
능성 구씨가 세족世族으로 등장하게 된 것은 각 파조가 활동하던 고려 말 조선 초 이후다. 구성량具成亮, 구성노具成老 등이 이성계의 집권에 동조하여 고관에 오르고 조선 개국 후에까지 세력을 계속 확장함으로부터다. 그리고 구성노의 손자인 구치관具致寬이 세조 즉위 때 좌익공신佐翼功臣 3등이 되고 성종 즉위 때 좌리공신佐理功臣 2등이 되어 능성부원군綾城府院君에 봉해지고, 후에 영의정에까지 오름으로써 능성 구씨는 확실히 세족으로 자리를 잡았다.
구민첨具民瞻은 시조 구존유의 아들로서 전주목사록全州牧司錄·참군參軍 겸兼 장서기掌書記였으며 동평장사同平章事의 관직에까지 올랐다. 3세조 구연具珚은 등과하여 안동면도감판관安東面都監判官을 지냈다 한다. 5세조 구영검具榮儉은 『고려사高麗史』 열전에 수록된 인물이다. 전리판관典理判官을 지냈고 공민왕조에 면성군沔城君에 봉해졌다. 7세조 구현좌具賢佐는 사재감판사司宰監判事를 역임했고 조선 개국 후 해미海美 국사산國師山에 들어가 벼슬하지 않았다. 구현노具賢老는 공조전서工曹典書를 지냈는데, 전서파典書派의 경우 <병인보丙寅譜>에는 11세 이후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
구성노具成老는 고려 32대 우왕 14년 조전원수助戰元帥로 요동 정벌에 출전하였다가 위화도 회군에 참여하였다. 이성계파에 속하여 고려 말 동지밀직同知密直, 경상도도절제사慶尙道都節制使를 거치고 조선 개국 후 자헌대부資憲大夫로서 판안동대도호부사判安東大都護府事, 강원도도원수江原道都元帥에 이르렀다.
8세조 구인문은 세종 23년 식년문과에 급제하고 집현전 교리를 지냈다. 세조 즉위 후 사육신이 화를 당한 것에 대해 직언을 했다가 외직에 나가게 되자 청맹靑盲을 자처하고 해미에 돌아가 두문불출했다. 정조 때 사육신이 복관復官될 때 이조판서로 추증되고 충장忠莊의 시호가 내려졌다.
영의정을 지낸 구치관
9세조 충렬공忠烈公 구치관具致官은 구성노의 손자이며, 공주목사를 지낸 구양具揚의 아들이다. 조선 전기 능성 구씨에서 배출한 대표적인 인물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능성현綾城縣 인물 조에 기록되었다. 세종 16년 알성문과에 급제, 계유정란 이후 좌승지에 오르고, 세조 즉위 후 좌익공신 3등으로 능성부원군綾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우의정을 거쳐 세조 7년 영의정이 되었다. 건주위建州衛 여진女眞을 칠 때 진서대장군鎭西大將軍으로 출전하였다. 예종 때 원상院相
으로 호조판서를 겸하고 성종 즉위 후 다시 이조판서를 겸임하였다. 성품이 엄정하였고 재산을 늘리지 않았으며 청백리에 책록되었다.
※ 원상院相은 조선 시대에 왕이 죽은 뒤 어린 왕의 즉위로 섭정이 이루어질 때, 임금을 보좌하여 정무를 맡아보던 임시 관직이다.
뛰어난 문장가였던 구봉령具鳳齡
13세조 문단공文端公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은 면성부원군沔城府院君 구홍具鴻의 6세손이다. 명종 15년 별시문과에 급제, 후에 다시 문신정시文臣庭試에서 장원을 했다. 이조참의, 대사간, 대사성, 부제학, 대사헌 및 전라도관찰사를 역임했다. 당시 동서 당쟁이 시작되던 무렵이었으나 거기에 휩쓸리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시문에 뛰어났는데 ‘삼대인물양한문장三代人物兩漢文章’이란 찬사를 들었다.
인헌왕후를 배출한 능성 구씨 가문
능원위綾原尉 구사언具思諺은 중종의 부마이며, 명종 때 능원군綾原君으로 봉해졌다. 팔곡八谷 구사맹具思孟은 명종조에 등과하여 정언, 교리, 이조정랑을 거쳐 이조판서, 좌찬성, 판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청렴결백하고 시문에 뛰어났고, 능안부원군綾安府院君으로 추봉되었다. 딸이 선조의 다섯째 아들 정원군定遠君에게 시집을 간 인헌왕후仁獻王后다.
인헌왕후(1578~1626)는 인조仁祖의 어머니로 1623년 인조반정으로 부부인府夫人에 진봉進封되었고, 궁호宮號를 계운궁啓運宮이라 하였다. 1632년 이조판서 이귀李貴의 주청으로 부군인 정원군이 원종으로 추존됨에 따라, 인헌왕후로 추봉되었다. 능은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장릉)에 있으며 병풍석이나 난간석은 설치하지 않고 보호석만 둘렀다. 묘 아래에는 영조 29년(1753)에 세운 ‘조선국원종대왕장릉朝鮮國元宗大王章陵 인헌왕후부좌仁獻王后府左’라고 새긴 비각이 있다.
능성 구씨들의 항일抗日 활약상
임진왜란 당시 창의기병唱義起兵하였던 20세조 구희具喜의 정신을 이어받은 능성 구씨들은 항일 독립운동에 커다란 활약을 하였다. 그중 구춘경具春慶은 1895년 을미사변으로 명성황후가 살해되자 의병을 이끌고 일본군과 싸우다가 체포되어 사형되었다. 구춘선具春先은 1919년 동간도東間島 국민회를 창설하여 회장에 취임, 항일 투쟁을 하였다. 1920년에는 동만주東滿洲의 여러 단체가 합쳐져 간북총판부墾北總辦部가 결성되었을 떼 자신은 남부총판부의 총판이 되어 활약하였다.
구영필具榮必은 1910년 한일합방 후 만주로 망명하여, 1919년 상해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재무위원에 피선, 1922년 영고탑寧古塔에서 한교회韓僑會·간민회墾民會 등을 설립하고 독립운동을 기도하다가 일본군에게 살해당했다. 구정서具禎書는 동대문교회 전도사로 있으면서 보안회·자강회에 가입, 기독교 운동을 통해 항일 운동을 전개했고, 1900년에는 국채보상운동을 벌였다. 1905년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자 의병을 일으켜 항쟁하다가 1907년 체포되어 사형당했다. 구연영具然英은 1896년 독립협회에 가입하여 애국 운동을 시작했다. 국채보상운동에 참여하고 구국회를 조직했다. 1905년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자 일진회一進會 규탄에 전력을 다하다가 체포되어 사형당했다.
현대 주요인물
구자춘具滋春(1932 ~ 1996) - 대한민국 육군 군인, 경찰, 제16대 서울특별시장, 제38대 내무부 장관을 역임한 공무원이자 제13·14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가이다.
구본무具本茂(1945 ~ 2018) - LG그룹 회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LG화학 대표이사 회장, LG전자 대표이사 회장을 역임하며 23년 동안 LG그룹의 핵심 사업을 이끌었다.
구본길具本佶(1989~ ) -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로 주 종목은 사브르이다.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단체전에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대한민국 펜싱 역사상 처음으로 나온 단체전 금메달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