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씨 (창녕) [STB 영상]

한국주요성씨


조씨 (창녕) [STB 영상]

세계성씨연맹본부 0 2,998
성씨의 유래
『환단고기』의 기록에 의하면 배달국 5세 태우의 환웅의 막내아들 태호복희씨가 풍산風山에서 살게 되어 성을 풍風으로 했다고 한다. 지금으로부터 5500년 전의 일이니 인류 최초의 성이라 할 수 있다. 풍씨는 이후 15대만에 직계 후손의 맥은 끊어지고 패佩·관觀·임任·기己·포庖·이理·사姒·팽彭씨의 여덟 가지 성으로 나누어졌다. 그 후 5300년 전 염제신농씨가 강수姜水에 살아서 성을 강씨로 했다는 기록이 있다. 따라서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성씨는 강姜씨이다. 성씨 제도는 동방 한민족으로부터 시작되었다.
 

201602_122.jpg

한국의 성씨
우리나라 성姓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486년 성종 때 편찬한 동국여지승람에 277성으로 나와 있다. 일제 강점기인 1930년에는 250성으로 조사되었고 1960년 조사에서는 258성이었다. 가장 최근의 조사인 2000년 인구 및 주택 센서스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286개의 성과 4,179개의 본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중 창녕 조曺씨는 모두 10만 5282가구에 33만 8222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성씨별 인구 순위가 28위이다.
 

201602_123.jpg

우리나라의 조曺씨


창녕 조曺씨는 고유의 토착 성씨이다. 조曺씨는 창녕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가 대부분이며, 그 외의 본관들도 창녕 조씨에서 분관된 성씨로 파악되고 있다. 시조 조계룡 이후 세계世系는 실전되어 알 수 없다가 신라 말에 이르러 아간시중을 지내고 고려 태조의 딸과 결혼한 조겸이 나온다. 그래서 창녕 조씨 문중에서는 조계룡을 시조로 하고, 고려 태조 왕건의 사위가 된 조겸曺謙을 중시조로 받들고 있다. 창녕 조씨는 고려조에서는 8대에 걸쳐 평장사平章事를 배출하고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로 113명을 배출한 명문가이다. 주요 인물로는 시조 조계룡, 중시조 조겸을 비롯하여 조선시대 석학이었던 남명 조식과 일제와 해방 후에 유명했던 고당 조만식, 죽산 조봉암 등이 있다.

시조 조계룡(571~651)
창녕 조씨의 시조는 조계룡曺繼龍이다. 계룡은 어릴 때부터 궁에 들어가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여러 관직을 받았고 드디어 부마駙馬가 되어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창성은 창녕의 고호)에 봉해졌다. 당시 신라의 제26대 진평왕은 아들을 못 낳아 딸인 선덕여왕에게 왕위를 계승했는데, 선덕여왕의 남편이 조계룡이라고 한다. 덕만공주(후의 선덕여왕)의 남편을 ‘동경잡기’와 ‘경주김씨선원세보’에서는 김인평金仁平이라고 적고, 「삼국유사」 ‘왕력보’에서는 음갈문왕飮葛文王* 인평仁平으로 적어 김인평이 음갈문왕(갈문왕은 신라때에 왕의 근친에게 주던 봉작封爵)임을 나타내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경주 김씨 김인평과 조계룡이 동일 인물이라고 주장한다. 음飮갈문왕을 이두식으로 읽으면 〈마실〉갈문왕이 되는데 마실은 마을의 사투리나 옛말로 마을 조曺 자와 연결된다. 김인평의 원래 성이 조曺씨이고 나중에 본래 성을 찾았다는 주장이다. 창녕 조씨 족보에 의하면 631년 2월(61세)에 진평왕으로부터 조계룡이라는 이름을 하사받았다고 한다. 벼슬이 ‘보국대장군 상주국 대도독 총지휘제군사 금자광록대부 태자태사輔國大將軍 上柱國 大都督 總指揮諸軍事 金紫光祿大夫 太子太師’에 이르렀다. 그는 왜구가 침입하였을 때 보국대장군으로 이를 물리쳤고 삼국통일의 주인공 김춘추, 김유신 등을 배후에서 지도한 인물이었다고 ‘창녕조씨시조기昌寧曺氏始祖記’는 전한다. 그의 묘소는 경북 경주시 안강읍 노당2리에 소재한다.

시조에 얽힌 전설
시조 조계룡의 탄생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한다. 창녕현 고암촌鼓巖村에 살던 경주 이씨 한림학사 이광옥李光玉의 집안에 예향禮香이라는 혼기가 찬 딸이 있었다. 어려서부터 복질腹疾병이 있어 고생하고 있었는데 백약이 무효하였다. 창녕 화왕산 용지에 가서 목욕재계하고 기도하면 반드시 효험을 볼 것이라는 어느 신승神僧의 말에 따라 화왕산 용지에 가서 지성으로 기도를 드렸다. 기도 중에 갑자기 운무雲霧가 일어 주위가 캄캄해지면서 물속으로 끌려 들어가는 몽롱한 지경에 정신을 잃었다가 얼마 후 운무가 걷히면서 못 한가운데서 솟구쳐 나왔다. 그로부터 복질은 씻은 듯이 완쾌되고 태기胎氣가 있었다고 한다. 그 뒤 아들을 낳았는데 겨드랑이 밑에 조曺 자와 같은 무늬가 새겨져 있었다. 하루는 꿈에 장부가 나타나 “그대는 이 아이의 아비를 아는가? 나는 동해신룡東海神龍의 아들 옥결玉抉인데 이 아이의 아비이다. 이 아이를 잘 기르면 후에 공후公候(한 지방을 맡아 다스리는 제후)가 될 것이며, 그렇지 못한다 하여도 경상卿相(조선 시대 판서, 지금의 장관)은 틀림없을 것이다.” 하였다. 이 사실을 이광옥이 진평왕에게 아뢰었는데 왕이 이 아이를 접견하고 보니 풍모가 특이하고 겨드랑이 밑에 조 자의 글무늬가 있음을 보고 조曺라 사성하고 이름을 계룡繼龍이라 지어 주었다 한다. 그로부터 성장하여 진평왕의 사위가 되고 창성부원군에 봉하니 곧 창녕 조씨의 시조이다. 이러한 득성 설화는 조선 영조 때인 1760년대에 제작된 〈여지도서輿地圖書〉 ‘창녕조’와 1832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 1895년 작성된 〈영남읍지嶺南邑誌〉에 기록되어 있다. 옥결玉抉, 계룡繼龍이라는 용어는 고대로부터 왕과 관련되어 있다. 신라 진흥왕은 창녕가야(빛벌가야=비사벌가야)를 서기 551년경에 합병하고 그 왕족에게 김씨를 하사하였다. 일설에 의하면 옥결은 그 왕족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고 본래의 성이 조曺씨라고 한다. 즉 ‘동해신룡東海神龍’의 동東은 조曺를 포함한 글자이다. 그리하여 동해신룡은 ‘조씨 왕’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하사받은 성으로 김옥결, 김인평으로 대를 잇고 있었는데 늦게나마 왕이 본래 성을 찾아 주고 이름을 계룡이라고 지어주었다는 주장이다. 설화를 통해 유추해볼 때 조계룡은 창녕 지역의 왕족 출신으로 일찍부터 신라 중앙 정부로 진출한 인물이라 볼 수 있다.

본관의 변천
창녕昌寧은 경상남도 북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옛 창녕현昌寧縣과 영산현靈山縣이 합하여 이루어진 곳이다. 본래 삼한시대에 불사국不斯國, 이후의 빛벌가야非火伽倻 지역이었다. 신라에 의해 555년(신라 진흥왕 16) 하주下州가 설치되었고, 565년(진흥황 26) 비자화군比自火郡 또는 비사벌군比斯伐郡으로 개칭되었고, 757년(경덕왕 16)에 화왕군火王郡으로 바뀌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창녕군으로 고치고, 1018년(현종 9) 밀성군密城郡(밀양密陽)의 속현이 되었다. 조선시대인 1394년(태조 3) 창녕과 영산에 현감을 두었고, 1631년(인조 9) 창녕현은 지도至道의 역변逆變으로 현에서 강등되어 영산현에 편입되었다가 1637년(인조 15) 다시 현으로 복귀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대구부 창녕군 영산군이 되었으며, 1896년에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영산군의 일부를 병합하였다. 2004년 현재 창녕군은 산하에 2읍 12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602_1251.jpg

성씨의 변천과정


창녕 조씨의 분파 

현재 조曺씨는 창녕昌寧, 능성綾城, 남평南平, 옥천沃州, 장흥長興, 안동安東 등 10여 개 본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나, 모두 창녕 조씨에서 분적된 것으로 보인다. 창녕 조씨 내의 분파를 보면, 감사공파監司公派 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 매계공파梅溪公派 밀직사공파密直使公派 부사직공파副司直公派 부제학공파副提學公派 사의공파司議公派 사정공파司正公派 사직공파司直公派 상서공파尙書公派 상호군공파上護軍公派 생원공파生員公派 선무랑공파宣武郞公派 수찬공파修撰公派 승지공파承旨公派 시랑공파侍郞公派 시중공파侍中公派 장양공파莊襄公派 중추공파中樞公派 지중추공파知中樞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 청구당공파靑邱堂公派 총제공파摠制公派 충순위공파忠順衛公派 충익공파忠翊公派 태복경공파太僕卿公派 태학사공파太學士公派 판부사공파判府事公派 판윤공파判尹公派 현감공파縣監公派 헌납공파獻納公派 등이 있다.
 

201602_1252.jpg

고려 조의 인물 

신라 말기 아간阿干(신라 17관등 중 제6품인 아찬阿飡) 조흠曺欽은 신라가 망한 것을 슬퍼하여 벼슬을 버리고 토함산에 들어가 ‘천녕왕업일조진千年王業一朝塵 백수고신루만중白首孤臣淚滿中 차문수양하처사借問首陽何處是 토극명월자상친吐亟明月自相親’이란 시문을 남기고 여생을 보내어 신라에 대한 절의를 지켰다. 그의 아들 조겸曺謙은 고려 태조의 딸 덕공공주德恭公主에게 장가들어 태조의 사위가 되었다. 대악서승大樂署丞(고려 왕립음악기관 중 하나로 종8품 벼슬)이라는 벼슬을 지냈는데 그가 창녕 조씨의 중흥시조이다. 조겸의 손자 조연우曺延祐로부터 조자기曺自奇에 이르기까지 8대에 걸쳐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정2품 부총리)를 지냈고, 다시 6대 뒤에 조송무曺松茂, 조송군曺松君, 조송학曺松鶴의 3형제를 비롯하여 6대에 걸쳐 소감少監(비서성의 종4품)을 배출하여 창녕 조씨 문중이 크게 중흥하였다. 특히 조자기는 고려 현종조에 거란과 여진의 침입을 여러 차례 토벌한 명장으로 고려 말에 활약했던 무장武將 조민수曺敏修와 더불어 창녕 조문의 자랑이다. 조민수는 공민왕 때 홍건적의 침입을 물리쳐 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 우왕 초에는 경상도 순문사巡問使(지역의 장관)로 왜구를 격퇴하고, 문하부지사門下府知事, 서북면도체찰사西北面都體察使, 1379년(우왕 5) 문하평리門下評理, 1383년 문하시중門下侍中을 거쳐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에 봉해졌다. 1388년(우왕 14) 요동정벌군遼東征伐軍의 좌군도통사左軍都統使로 출정한 뒤 위화도에서 이성계와 회군回軍하여 우왕을 폐하고 창왕을 세우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1389년(창왕 1) 이성계 일파의 전제개혁을 반대하여 조준 등의 탄핵으로 창녕에 유배된 뒤 창왕의 생일에 특사로 풀려났으나, 우왕의 혈통을 에워싼 논쟁으로 이성계 일파에 대항하다가 서인庶人으로 강등되고, 이듬해 다시 창녕으로 유배, 배소配所에서 죽었다.

조민수의 아들 조린 역시 조선 태종이 한성부윤의 벼슬을 내리고 불렀으나 불응하여 고려에 대한 절개를 아버지와 같이 지켰다. 창녕조문이 내세우는 고려조의 인물의 한 사람으로 벼슬이 좌정승左政丞(문하시중이 바뀌어 좌, 우정승으로 나뉜 종1품)에 이르렀던 양평공襄平公 조익청曺益淸을 빼놓을 수 없다. 그는 충숙왕 때부터 공민왕에 이르기까지 3대의 왕에 걸쳐 사직을 보필한 공으로 창녕 조씨에서는 유일하게 왕묘(공민왕)에 함께 배향되었다.

조선 시대의 인물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조민수 장군의 영향으로 자손들이 벼슬을 멀리하고 초야로 많이 돌아갔다고는 하나 조석문曺錫文은 세조 때 영의정까지 지낸 명신이었다. 그는 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쳐 도승지都承旨(정 3품 왕의 비서실장)가 되었고 세조 때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뒤 영의정에 올랐다. 그는 청렴한 대신으로 알려졌으며 충간공忠簡公의 시호를 받았다.

성종 때의 대문장가로 알려진 매계 조위曺偉는 성종 때 사람으로 그의 자형이 점필재 김종직이다. 어려서부터 김종직에게 수학하였다. 홍문관의 관료들과 ‘두시언해杜詩諺解’를 완성하였으며 그 서문을 썼다. 저서로는 ‘매계집梅溪集’이 있고 시호는 문장文狀이다. 조위의 동생 적암適庵 조신曺伸 역시 문장가로서 시문에 능하였고 역관으로 10여 차례 일본, 연경燕京 등지에 사신으로 다녀와 외국에까지 그 이름을 떨쳤다.

조상치曺尙治는 세종과 문종, 단종 때 성삼문 박팽년 등과 함께 교류하고 집현전 부제학副提學을 지냈다. 하지만, 세조가 왕위를 찬탈하자 영천永川으로 물러나 자신의 묘비를 ‘노산조부제학보인조상치지묘魯山朝副提學補人曺尙治之墓’ 즉 〈노산조(단종 때) 홍문관 부제학을 지낸 조상치의 묘〉라는 묘비를 미리 써놓고 세조의 신하가 아님을 스스로 밝혀 절의를 지켰다. 정조 때 충정忠貞이란 시호가 내려졌다. 조상치의 후손 중에서 벼슬에 오른 사람이 많았고, 문중도 번성했다. 그의 증손 조계은曺繼殷, 조계상曺繼商 형제는 중종 반정에 공을 세워 각각 입국공신立國功臣 창산군昌山君, 정국공신靖國功臣 창녕군昌寧君에 봉해졌으며 조계상은 대사헌을 거쳐 벼슬이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이르렀다. 특히 조계상의 직계 후손들 가운데 훌륭한 인물이 많이 배출되었는데 조계상의 아들 조광원曺光遠이 명종 때에 좌찬성左贊成을 역임했고, 증손 조문수曺文秀는 시문에 능할 뿐 아니라 글씨로도 당대에 이름을 날렸다. 조문수의 아들인 조한영曺漢英은 인조 때 배청파排淸派로 지목되어 김상헌, 최명길 등과 함께 심양瀋陽까지 잡혀갔다가 돌아오는 고초를 겪었으며, 조한영의 현손 조윤대曺允大는 이조판서를 지냈고 명필가로 이름을 떨쳤다.

조선조 창녕 조씨의 인물 중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은 남명南冥학파를 이룬 조식曺植이다. 그는 명종과 선조 때 조선의 유학자로 퇴계 이황에 견줄 수 있는 인물이다. 낙동강 이남은 남명, 낙동강 이북은 퇴계의 학풍으로 학파가 양분 공존하였다. 남명의 사상은 지금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는 지리산 기슭에 은거하며 여러 제자와 후학을 가르쳐 불의에 항거할 줄 아는 선비 정신을 심어주었다. 그가 죽은 지 5년 만에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그의 제자였던 홍의紅衣 장군 곽재우郭再祐을 위시한 57명의 문하생이 의병을 일으켰다. 호는 남명南冥이며, 광해군 때 영의정에 추증되고 문정文貞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았다. 저서로는 ‘남명집南冥集’ ‘남명학기南冥學記’ ‘유편類編’ ‘파한잡기破閑雜記’ 등이 있다.

조몽정曺夢禎의 아들 조탁曺倬은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여 정난선무공신에 책록되었다. 그는 왕에게 부흥책십조를 올려 국무에 실시케 하였으며 광해군 때 그가 소장했던 국조보감을 진헌, 이 책을 대본臺本 삼아 다시 간행함으로써 우리 역사를 바로 알리는 데 큰 공헌을 했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그의 아들 조명욱曺明勖도 영의정에 추증되어, 조몽정, 조탁, 조명욱 3대가 영의정에 추증되는 영예를 누렸다.

조석중曺錫中은 조曹씨로 되어있던 성씨를 정조의 명을 받아 조曺로 환원하고, 이를 사용할 것을 문중에 전달했다. ‘창녕 조씨지선록昌寧曺氏知先錄’을 편찬하였으며, 벼슬은 충청도 관찰사를 역임하였다. 조봉진曺鳳振은 창녕 조씨 시조의 재실인 종덕재種德齋의 기문記文을 지었고, 이조판서를 역임했다. 조석여曺錫輿는 좌찬성을 지내고, ‘창녕조씨경진대보昌寧曺氏庚辰大譜’를 엮고 서문을 지었다.

창녕 조씨 근현대 인물
한말韓末에 와서 창녕 조문을 빛낸 대표적인 인물로는 청사晴簑 조성환曺成煥과 고당古堂 조만식曺晩植을 꼽는다. 조성환은 구한 말 참위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이동녕 이상설 김구 등과 함께 신민회를 조직하였다. 그 뒤 만주로 건너가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를 조직하고 군사부장과 정무위원政務委員을 지냈다. 다시 상해로 건너가 임시정부 국무위원이 되었으며, 광복군 설립의 기초를 닦았다.

조만식曺晩植은 한일합병이 되던 무렵 20대 청년이었다. 고당은 도산 안창호의 민족자강운동과 간디의 무저항주의에 감동하여 민족지도이념 노선을 걸었다. 고당은 일제 치하에서도 국내에 머물면서 민족산업 증진, 생활조건 개선, 배일排日 독립정신 함양을 지표로 한 민족주의 운동을 전개했다. 광복 후 북한이 공산화된 뒤에도 동포를 버리고 혼자 월남할 수 없다며 끝까지 북한에 남아 있다 6·25전쟁 때 평양형무소에서 공산당에 의해 살해되었다.

또 竹山 조봉암曺奉岩은 일제강점기엔 좌익 계열 독립운동을 했지만, 해방 후에는 이승만 정권에서 초대 농림부 장관을 역임했다. 하지만, 자유당과 결별하고 진보당을 결성하여 대통령 후보에 나섰으나, 진보당 사건으로 사형당했다.

그 외 창녕 조씨 인물로는 제헌의원 조국현을 비롯하여 조재천 조명환 조일환 조창대 조영규 조형부 조덕현 조기상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장관으로는 조재천(법무장관) 조정환(외무장관) 등이 있으며, 학계에서는 조재호(전 서울교대 학장) 조무성(전 광운대 총장) 조좌호(전 성균관대 총장) 조규상(가톨릭의대 교수) 조준승(경북대 의대학장) 등이 있고, 법조계에는 조우현 변호사 등이 있다. 또 한국 바둑계의 거성인 조훈현 9단도 창녕 조씨이며, 판소리 명창 조상현, 성악가 조수미, 가수 조성모, 태진아(조방헌)도 창녕 조씨 인물이다.

201602_1291.jpg
강릉 창녕 조씨 종가를 가다
Q. 이 집은 언제 지어진 건가요?


이 집은 1820년 경 소유자의 7대조 때 건립되었으며, ‘진사댁’으로 불렀어요. 집의 뒤에 활을 쏘았던 과녁 터가 있어요.
 
Q. 강릉 입향조는 누구신가요?


입향조는 30대 조철曺哲, 지금 거주하는 저는 입향조의 12세 손 조옥현曺玉鉉입니다.
 
Q. 종가의 모임은 언제?


정월 초하루에 여기에 모여서 합동세배都拜를 하고 종회를 엽니다. 종회 후에 한 해 결산 겸 집안이 대소사를 의논합니다.
 
Q. 식당이 20년 넘었다는데?


20년 가까이 운영하고 있어요. 이 식당(서지초가뜰)은 과거에 마름이 살던 집을 개조해서 식당으로 만들었어요. 강릉전통음식 전문점입니다. 드라마 촬영을 하기도 했고 배용준이 직접 찾아와서 자기 책에 추천한 식당입니다.
 
Q. 솟대는 누가?


옛날에 진사를 하면 집 앞에 표시로 솟대를 세웠어요. 5대조이신 황포공篁圃公 조석삼 어른께서 과거에 급제를 하고 진사(1888년)를 지냈어요. 그것을 축하하고 기념하기 위해 세웠어요.
 

201602_1292.jpg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게시물이 없습니다.

CS Center


042-337-1331
월-금 : 9:30 ~ 17:30
토/일/공휴일 휴무
런치타임 : 12:30 ~ 13:30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