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姓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486년 성종 때 편찬한 동국여지승람에 277성으로 나와 있다. 일제 강점기인 1930년에는 250성으로 조사되었고 1960년 조사에서는 258성이었다. 가장 최근의 조사인 2000년 인구 및 주택 센서스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286개의 성과 4,179개의 본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중에서 남평 문씨는 성씨 별 인구 순위에서 전주 최씨에 이어 21위로 조사됐다.
문씨는 「조선씨족통보」와 「증보문헌비고」등의 문헌에 남평, 단성丹城, 영산靈山, 보령保寧, 감천甘泉, 정선旌善, 결성結城, 개령開寧, 강릉江陵 등의 156본으로 기록되어 있다. 2000년 인구조사에서 문씨는 40여 개의 본관이 있지만 남평 문씨에서 갈려나간 본으로 시조가 같은 동일 본이다. 그러나 정선 문씨와 감천 문씨 중 일부는 남평 문씨와 관계가 없다. 감천 문씨 중 시조가 같은 남평 문씨는 감천군파를 말하며 파조는 문구文龜이고 시조가 다른 감천 문씨는 시조가 김원길金原吉이다. 왕손인 경주 김씨였으나 중국에서 필명을 날려 문씨 성을 하사받아 문원길文原吉이 되었다. 200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남평 문씨는 42만여 명으로 남한 인구의 0.9%이며, 우리나라 성씨별 인구 순위 23위이고 단일 본으로는 21위이다.
남평문씨 시조의 휘諱는 다성多省이고 자字는 명원明遠이다. 호號는 삼광三光이며 시호諡號는 무성武成이다. 통일 신라 말기의 인물로 고려 초에 개국공신으로 남평군에 봉해졌다고 한다. 남평은 지금의 전남 나주시 남평읍 일대 지명이다. 남평 문씨의 족보 중에 최고본最古本인 「신해보辛亥譜」(1731, 영조 7년)에는 시조의 탄생과 성장에 관한 전설이 다음과 같이 적혀있다.
‘호남湖南의 남녘에는 남평군南平郡이 있고, 남평군의 동녘에는 큰 못(장자지長者池)이 있으며, 못가에 천 길이나 되는 높은 바위(문암文巖)가 있었다. 군주郡主가 하루는 못 기슭 그 바위 밑에서 놀고 있는데, 갑자기 바위 위에 오색구름이 감돌더니 문득 어린 아기 울음소리가 은은하게 들려왔다. 군주가 이상하게 여겨 바로 사다리를 만들게 하고 시종자로 하여금 올라가 보게 하니, 석함石函이 있는지라 끈으로 매어 당겨 내렸다.
함을 열어보자 그 속에는 어린 아기가 있는데 피부가 백설白雪 같고 용모가 기이奇異하므로 군주는 데려다 양육하였다. 나이 겨우 5세에 글과 사상이 자연 통달하고, 무예와 지략이 뛰어난 재주가 있는 등 사물의 이치理治에 막힘이 없었다. 그럼으로, 문文자로 성姓을 삼고 다성多省이라 이름하고 명원明遠으로 자字를 삼으니 그 시대 사람들이 칭송하여 말하기를, 문군文君은 밝기가 해와 달 같고 맑기가 별 같다 하여 호號를 삼광三光이라 하였다. 나이 14세에 대사도大司徒가 되었고, 18세에 대사마대장군大司購大將軍에 이르렀으며 삼중대광보국三重大匿輪國(고려 초 9품계의 향직 중 첫째 등급)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후삼국 통일에 협력한 당대의 세력가들에게 내린 공신 칭호임)으로서 남평개국백南平開國伯에 봉해지고, 태사태부太師太傅가 되시었다. 수壽는 98을 누리시고 시호를 무성武成으로 받으셨다. 부인은 김씨金氏요 아들 탁倬은 문하시중 무열공門下待中 武烈公이요 후손이 번영하여 명공거경名公巨卿이 끊어지지 않았는데, 경절공 익翼과 경정공 공유公裕와 충숙공 극겸克謙과 효혜공 유필惟弼과 충선공 익점益漸이 더욱 교연翹然(여럿 중에 뛰어남)하였다.’
이러한 탄생설화로 볼 때 문다성은 남평 지역의 유력한 호족이었음을 알 수 있다. 시조 무성공의 묘는 실전失傳되어 전하지 않는다. 1993년 후손들이 탄강지인 남평읍 풍림리의 문바위 옆에 설단하고 매년 3월20일 단제壇祭를 모시고 있다. 문바위(文巖)는 민속자료 32호로 시조단의 서쪽에 있으며 문암각을 지어 문암을 보호하고 있는데 2004년 단청작업을 마쳤다. 장자못은 1970년경에도 고기가 많아 수렵도 하고 시조단의 앞으로 배가 다녔으나 토사가 쌓여 매립이 되어 주변은 논이 되었다.
본관 남평은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의 남평南平, 산포山浦, 금천金川, 봉황면鳳凰面 등 동부 지역 일대의 옛 지명이다. 남평은 본래 백제 때 미동부리현未冬夫里懸이었으나 신라 때는 현웅玄雄으로 고쳤고, 고려 때 오산烏山, 영평永平을 거쳐 남평으로 고쳤다. 고려 명종 2년(1172)에 감무監務를 두었으며, 조선 태조 3년(1394)에 현감懸監을 두었다. 조선 고종 32년에 남평군으로 승격되어 나주부에 속했다가 1914년에 나주군에 편입하여 남평면이 되었다. 1985년에 나주군이 나주시로 승격되면서 남평읍으로 승격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성씨는 문文 황黃 조曺 정丁 오吳 유兪 김金 심瀋 노盧 서徐 양楊 하河 방方씨 등이 있다. 고적으로는 장자못長者池이 있고, 이 고장 출신의 주요 인물로는 이전수李全粹, 문공유文公裕, 문극겸文克謙, 문달한文達漢 등이 있다.
시조 문다성 이후 세계가 정확치 않아 남평 문씨 가문은 문익을 중시조로 모시고 1세로 하고 있다. 중시조의 휘는 익翼이고 시호는 경절공敬節公이다. 성품이 곧아 왕께도 직간을 서슴지 않았고, 국교가 불교인 상황에서도 유교의 정대한 진리를 깨닫고 실천하여 기대와 촉망을 받았다. 고려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해 헌종 1년(1095년) 근신近臣으로 있다 숙종 3년(1098년) 찬선대부贊善大夫, 급사중給事中(종4품)을 거치고 1099년(숙종 4년) 3월 요療나라에 원자 책봉을 청하는 임무를 마치고 온 후 좌복야左僕射로 승진하였다. 1102년 직문하성사直門下省事로 서북면 병마사를 하고 1103년(숙종 8년)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정3품)로 승진하고 예종 3년(1108년) 병부시랑지어사대사兵部侍郎知御史臺事 충상장군 병부상서兵部尙書, 1112년(예종 7년) 참지정사參知政事(종2품)로 누진하였다. 강종 때 평장사 상주국 영동정의 추증과 풍산군으로 봉함을 받았다. 남평문씨를 고려 명문의 위치에 올려놓은 중흥조로 네 아들(공인公仁, 공원公元, 가관可觀, 공유公裕도 모두 뛰어났다.
경절공의 네 아들 중 3남 가관(조계종 대선사)을 제외하고 3형제가 모두 재상을 역임하였다. 4형제 중 공유만 극겸(충숙공), 극순, 극이 등 아들 삼형제를 두었다. 장남인 극겸 또한 판예부사, 수국사, 판병부사 등을 거쳐 권판상서이부사를 역임하였다. 극겸은 후식, 유필 두 아들을 두었는데, 장남 후식은 종3품 지병마사를, 유필은 종2품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를 거쳐 참지정사를 역임하였다. 극순은 효식과 정식 두 아들을 두었는데 장남인 효식도 정2품 좌복야를 역임하였으며, 정식 또한 이규보李奎報와 시문을 주고받는 절친한 친구였다. 남평문씨는 중시조 익부터 4세까지 12명 중, 조계종 대선사로 활약한 승僧 가관을 제외한 11분에 대하여 살펴보면, 종2품 이상으로 재상을 역임한 분만 6명으로 공인, 공원, 공유, 극겸, 유필, 효식이며, 종3품 이상이 2명(익, 후식)으로 8명에 대한 이력이 확인된다. 다만, 극순, 극이, 정식 등 3명은 기록이 보이지 않는다. 이후 극겸의 아들 후식과 유필에게만 후손이 나타나니, 현재의 모든 문씨는 위 두 분 중 한 분의 후손이 된다. 즉, 모든 문씨는 충숙공 아들 대에 와서 처음으로 후식의 후손과 유필의 후손으로 분파되는데, 후식의 후손은 8파로, 유필의 후손은 2파로 분파되어 남평 문씨는 크게 10대 종파로 구분된다.
남평 문씨는 문익의 아들 문공인, 문공원, 문가관, 문공유 등 4형제가 크게 현달하면서 가문이 번성하기 시작한다. 그 후손에서 문극겸, 문유필, 문익점, 문달한 등이 배출됐다. 고려 무인시대에 주목할 만한 인물이 바로 문극겸文克謙(1122~1189)이다. 그는 고려 인종 때 병부상서를 지낸 문공유文公裕의 아들이다. 고려 의종 무인의 난(1170년 경인년)이 일어나기 직전 어느 날 환관 백선연白善淵이 풍류를 좋아하는 의종을 꼬여 예성강에서 뱃놀이를 하기 위해 궁을 나설 때였다. 정언 벼슬의 문극겸이 나서 의종의 어가를 막고 간諫했다. 그러나 왕은 그의 말보다는 백선연의 말을 들었다. 결국 화를 입은 문극겸은 개경을 떠난다. 공주는 문극겸의 고향이다. 그는 삭직되어 일시 야인으로 돌아왔다가 나중에 황주판관으로 복귀한다. 공주시 유구읍 추계리에는 문극겸의 묘와 사당이 있다. 그가 충언을 한 직후인 1170년 경인년 봄에 보현원普賢院에서 무신들의 난이 일어난다. 상장군 정중부(해주 정씨, 상장군은 대장급 벼슬), 견룡행수牽龍行首 이의방(전주 이씨, 견룡행수는 오늘의 경호실 대령급 벼슬), 산원散員 이고(산원은 하사관급 벼슬), 이의민(경주 이씨. 천민 출신) 등이 문신들을 죽이고 의종을 폐하니 왕은 비로소 문극겸의 말을 듣지 않은 것을 후회했다. 문극겸은 딸을 이의방의 아우 이린李隣에게 출가시켰다. 이 때문에 계사의 난에 일족이 모두 화를 면하였다. 이린은 바로 이성계의 6대조가 된다. 문극겸은 명종 4년 이의방이 피살된 후에도 계속 관직에 남아 벼슬을 지냈다.
문득준文得俊은 극겸의 증손자이다. 원종 때 과거에 올라 한림학사로 있을 때 관군으로 삼별초를 토벌하는 데 참가했다. 그의 현손玄孫인 문익점은 경남 산청에서 태어났다. 문익점은 1360년(공민왕 9년) 문과에 급제하여 김해부 사록金海府 司錄, 성균관의 순유박사諄諭博士 등을 지냈다. 1363년 좌정언左正言으로 서장관書狀官(외국에 가는 사신 중 기록관)이 되어 원나라에 갔다가 돌아오면서 붓대 속에 목화씨를 감추어 가져왔다. 이를 장인 정천익鄭天益과 함께 고향에서 재배하는 데 성공하여 우리나라 의복혁명을 가져왔다. 1375년(우왕 1년) 다시 전의주부典儀注簿로 등용되고 1389년 좌사의대부左司儀大夫가 되었다. 공양왕 때 이성계 일파에 의하여 추진된 전제개혁에 반대했다가 조준의 탄핵으로 밀려났다. 1440년(세종 22년) 영의정에 추증되고 강성군江城君으로 추봉되었으며 세조 때에 사당이 세워졌다. 문익점의 손자인 문래는 목화에서 실을 뽑는 ‘물레’를 만들었다. 경남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는 문익점이 처음으로 목화를 재배한 곳이다. 정천익은 문익점의 출생지인 단성 땅(지금의 산청군 단성면)에서 목화씨를 재배했다.
남평 문씨의 근현대 인물로는 상해 임시정부 수립 당시 국민의회 대표로 참여, 초대 교통총장을 지낸 문창범, 재미동포 항일단체인 대동보국회 회장을 지낸 문양목, 사학자이자 언론인이었던 문일평, 최초의 사전인 ‘새국어사전’을 펴낸 문세영 등이 있다. 문석선(특별재판소장) 씨와 그의 아들 문영극(광주법원장), 문영우(변호사), 문영길(변호사) 등은 4부자 법조 가족으로 유명하다.
그 밖에 현대 인물은 문익환(재야운동가), 문장욱(문교부장관), 문희석(문교부장관), 문홍주(문교부장관), 문봉제(교통부장관), 문명린(해운항만청장), 문동환(재야인사, 평민당수석부총재), 문병량(국회의원), 문용주(국회의원), 문형태(육군대장, 체신부장관), 문태갑(국회의원, 서울신문사장), 문인구(변호사, 대한변협회장), 문상익(수원지검검사장, 변호사), 문덕주(UN대표부대사), 문태준(의학박사, 국회의원), 문병집(중앙대총장), 문한규(부산의대교수), 문선명(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교주), 문종성(도서출판국민서관 대표), 문방흠(광주은행장), 문창화(과테말라대사), 문덕수(시인, 홍익대교수), 문학진(화가, 서울대교수), 문상희(신학박사, 연세대학장), 문선규(문학박사, 전남대교수), 문수재(연세대교수), 문국진(이학박사, 한양대교수), 문희갑(대통령경제수석비서관), 문성능(금성투자금융 사장), 문채수(명화공업 사장), 문충실(서울동작구청장) 씨 등이 있다.(무순, 전·현직 구분 안 됨)
집성촌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 전남 영암군 영암읍 장암리, 전북 김제시 공덕면, 전북 군산시(전 옥구군), 전남 나주시 남평읍 서산리, 전남 여수시 화양면 이천리, 전남 광양시 옥곡면 원월리, 전남 영광군 홍농읍 진덕리, 경북 군위군 소보면 달산리, 경북 청도군 청도읍, 경북 성주군 벽진면 매수리, 경남 진주시 금산면 가방리, 경북 포항시 흥해읍, 경남 사천시 용현면 송지리, 경남 산청군 신안면 안봉리, 경남 거창군 신원면 대현리 등이다. 오늘날 대표적 집성촌은 전남 영암군 영암읍 장암리다. 조선 단종조에 직장벼슬을 지냈던 문맹화가 어린 조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른 세조의 패륜에 분개하여 벼슬을 버리고 이곳 영암으로 낙향한 뒤 4백여 년 동안 지켜내려온 세거의 터다. 장암리 마을에 처음 뿌리를 내린 인물은 문맹화의 증손인 문익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