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長興 위魏씨
- 시조공 사적비 -
시조 위경魏鏡
당나라 관서 지방의 홍농弘農사람인 위경魏鏡은 신라 제27대 선덕여왕이 당나라에 도예지사道藝之士를 청했을 때, 서기 638년(선덕여왕 7) 당나라 한림학사로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위경은 신라에서 문하습비후門下拾非候·아찬阿飡(신라의 17관등 중 6번째)·상서시중尙書侍中(상서성의 으뜸 벼슬)을 역임하고 고려 때 회주군懷州君(회주는 장흥의 옛 지명)에 추봉해졌기에 후손들이 관향을 장흥으로 하였다. 그러나 문헌을 잃어 세계를 잘 알 수 없자, 고려 초 대각간시중大角干侍中을 지낸 위창주魏菖珠를 중시조로 삼아 세계를 이어 왔다. 우리나라 정사에 나오는 최초의 위씨는 대구화상大矩和尙과 함께 향가집 「삼대목(三代目)」을 엮었다는 신라의 위홍魏弘이다. 그는 오늘날 수상에 해당하는 각간角干의 높은 벼슬에까지 올랐다. 위홍, 위창주에서 보듯 위씨는 이미 신라 때부터 전남 장흥을 근거지로 하여 중앙 무대에 진출, 세력을 펼쳤던 집안이다. 원래 위씨의 원 시조는 중국 주나라 문왕의 아들인 필고畢高의 후예 필만畢萬이라고 한다. 그가 진晋나라 헌공獻公의 참승參乘(수레의 오른쪽에서 호위하는 관직)으로 곽, 적, 위 세 나라를 멸한 공으로 대부의 반열에 오르고 위지魏地를 봉토封土로 받으면서 지명地名에 따라 위씨魏氏로 성을 바꾸었다고 한다.
고려조의 인물
고려조의 인물로는 위계정魏繼廷이 있다. 그는 문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이부상서吏部尙書(정3품 장관), 문하시랑門下侍郞 평장사平章事(정2품 부총리), 문하시중門下侍中(종1품 정승)을 역임하였다. 위계정은 특히 고려 선종, 숙종, 예종 등 4조에서 삼중대광三重大匡(정1품 품계)으로 검교태사檢校太師(정1품 명예직), 수태보守太保, 판이부사判吏部事(상서이부의 장관)를 역임하고 상주국上柱國(국가의 공훈자에게 주기 위해 제정한 훈호勳號)의 호칭을 받았다. 그가 타계하자 충렬忠烈 시호와 함께 예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위계정의 손자인 위원개魏元凱, 위문개魏文凱, 위신개魏信凱 3형제는 현재의 장흥읍내 법원 뒤 쌍봉산 아래서 살면서 수학하였다. 고려 고종 35년과 다음 해인 36년에 위의 두 형제가 연달아 장원급제하고 몇 년 후 막내도 급제하였다. 이로 인해 장흥부민들은 이 산 밑에서 태어나 성장한 3형제가 연이어 장원급제하고 막내마저 급제를 하자, 쌍봉 중 큰 봉우리를 장원봉이라 하고 작은 봉우리를 거말봉居末峰이라 일컬었다고 한다. 위원개는 한림학사와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왕명을 출납하던 추밀원의 정3품)에 올랐다. 위원개는 몽고의 침략으로 나라가 어지러워지는 것을 한탄하다 마침내 불가에 귀의한다. 장원급제해서 관직 생활을 한지 꼭 10년 만이다. 강화 선원사에서 원오국사圓悟國師에게 구족계를 받고 승려의 길을 걸었다. 원오국사가 열반하자 뒤를 이어 수선사修禪寺 제6세주가 되었으며, 원나라 세조의 요청으로 북경에 가서 극진한 대우를 받았다. 위원개는 45세에 정혜사에서 주석하였으며, 이때 위원개는 “자연 그 자체가 그대로 부처의 경지”임을 깨닫고 운수행각을 멈추게 된다. 1293년, 세수 68세, 법랍 39세로 입적하였다. 위원개가 세상을 떠나자 충렬왕은 시호를 원감국사圓鑑國師라고 지어 주었다. 원감국사의 원비는 송광사 감로암에 있으며 탑은 복암 서쪽 200m 중봉에 있다. 동생 위문개는 평탄한 관리 생활을 했다고 한다. 그는 장원급제한 후 한림학사와 보궐補闕(중서문하성의 정6품 벼슬)을 거쳐 지금 순천시인 평양군사平陽郡事(수령)를 역임했다. 막내인 위신개는 후사가 없기 때문에 현재 위씨 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모두 위문개의 후손이라고 한다.
시조 창주의 10세손 위온魏溫이 평장사를 거쳐 문하시중에 올라 가문을 크게 중흥시켰다. 하지만 고려가 망하면서 위씨들은 쇠운에 접어든다. 이성계의 혁명에 반혁명으로 맞섰던 사람이 14세 위충이다. 위충은 상의원직장尙衣院直長, 합문지후閤門祗侯, 판사判事를 역임했는데 시중 김종연·심덕부, 판삼사사判三司事 지용기와 조유 및 장익 등과 함께 이성계를 제거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일을 준비하던 중에 함께 모의한 서경천호西京千戶 윤귀택의 밀고로 일이 발각되었다. 이에 김종연은 거열에 처해지고 위충은 장백원류형杖百遠流刑(곤장 100대 후 유배)을 받아 귀향하는 한편 자손들도 금고형을 당하였다. 조선 태조가 개국한 뒤 공의 자손들은 삼세三世동안 일체 과거에 응하지 않고 음직蔭職을 내리어도 사양하고 받지 않았다.
조선조의 인물
위씨 문중이 다시 벼슬길을 연 것은 의충의 증손 위종부魏宗復의 대부터다. 그는 한성삼군의 높지 않은 벼슬을 지냈다. 그에게는 유형由亨·유정由貞의 두 아들이 있었는데 이들로부터 파가 나뉘어져 담양·관산파(유형)와 행원파(유정)로 나뉜다. 유형의 증손 덕원德元은 임진왜란 때 권율 휘하에서 싸웠고 덕의德毅와 덕화德和는 피난길에 오른 선조를 따라 전란을 치렀다. 이중 특히 덕의는 선조가 의주까지 몽진했다는 소식을 듣고 석 달을 걸어 의주까지 찾아가 임금을 모시는 충성을 보여 명나라 장수 여응종으로부터 “동국에 산은 오직 천관天冠(장흥에 있는 산)이요, 사람은 덕의가 있을 뿐이다”는 극찬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조선조에 위씨 집안을 빛낸 가장 큰 이름은 최근 학계로부터 재평가를 받기 시작한 호남 실학의 거목 위백규魏伯珪다. 호를 존재存齋 또는 계항桂巷이라 일컬었던 그는 1727년 장흥 방촌傍村에서 태어났다. 8세에 이미 시를 지었고 시詩·서書·화畵에 능했다. ‘발적천관사發跡天冠寺 제공상춘호梯空上春昊 부시인간세俯視人間世 진애삼만리塵埃三萬里(천관사를 나서서 공중을 사다리 삼아 봄 하늘에 올랐네. 인간 세상을 내려다보니 온통 티끌에 싸여 있구나.)’는 그가 9세 때 지은 시다. 자라며 학문에 더욱 힘써 제자백가는 물론 천문·지리·역서 등을 두루 섭렵했다. 그가 읽은 책이 자그마치 요즘 기준으로 3트럭분이 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는 25세 때 병계 윤봉구尹鳳九의 문하에 들어가 성리학을 연구하며 더욱 깊이 있는 학문을 닦았다. 1798년(정조 22)에 71세를 일기로 세상을 뜰 때까지 왕성한 의욕으로 「사서차의四書箚義」, 「환영지寰瀛誌」, 「정현신보政弦新譜」, 「존재집存齋集」, 「고금古琴」, 「격물설格物說」, 「원류原類」 등 자그마치 90여 권의 저술을 남겼다. 그의 학통은 이이, 김장생, 송시열, 권상하, 윤봉구로 이어지는 노론계이며 향촌 생활을 통해 형성된 강한 현실 비판 의식이 저술에 나타나고 있어 학문적 성격은 경세적 실학의 색채다. 위백규가 32세(영조 35년) 때 지은 「정현신보」는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보다 50여 년이나 앞서 비슷한 사회 개혁 방략을 제시한 경세서다. 특히 그는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보다 91년이나 빨리 조선전도朝鮮全圖를 그렸다. 그의 학문은 그야말로 모든 방면에 걸쳐 백과전서 격이었다. 다산茶山 정약용이 인근 강진에 유배 오기 3년 전에 타계한 위백규는 종택 뒷산을 다산이라 하고 장흥의 천관산天冠山 자락에 정자를 짓고 ‘다산정사茶山精舍’라 하였다. 정약용이 유배지인 백련사에 지은 ‘다산초당茶山草堂’보다 훨씬 앞선 셈이다. 정약용의 롤모델(role model)이 바로 위백규였다. 전남 장흥군 관산읍 방촌마을은 위백규의 생가 마을로 600여 년 동안 장흥 위씨가 살아온 집성촌이다.
관향 장흥의 역사와 현대 인물들
관향인 장흥長興의 역사를 보면 삼국 시대 때는 백제의 고마미지현古馬彌知縣이었다. 신라에서 마읍현馬邑縣으로 고쳐서 보성寶城의 영현으로 삼았다. 고려에서 수녕현遂寧縣으로 고쳐서 영암靈巖의 임내任內로 하였다가 장흥부長興府에 내속來屬시켰다. 1392년(태조 1)에 수녕현遂寧縣의 중녕산에 성을 쌓고 중심지로 했으며, 1413년(태종 13) 장흥도호부로 승격되었다가 1652년(효종 3) 장흥현으로 강등되었다. 1896년에 전라남도 장흥군이 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전라도 장흥도호부 수녕遂寧의 성으로 위魏·박朴·조曺·함咸 4성이 기록되어 있다. 수녕이 장흥에 내속되고 관산冠山이라는 별호가 있었기에 수녕 위씨가 장흥 위씨로 개칭되고, 관산 위씨라고도 하였다.
근현대의 인물로는 일제 때 소련 연해주에 들어가 독립운동을 하다 죽은 위석규魏錫奎(1883∼l913)가 있다. 그는 관산파 위덕의의 9세손이다. 위씨들은 현대에 들어서도 희성으로는 보기 드물게 각 방면에 고른 진출을 보인다. 우리나라 항공 공학의 권위자인 위상규, 외교관 위성락, 위철환 대한변호사협회 회장, 위승호 육군 중장, 위성곤 국회의원, 위승희 시인, 위성용 재무부 경제협력국장, 위성미 골프선수(전·현직 구분 안 됨) 등이 있다.
〈참고자료〉
김동익, 『한국성씨대백과 성씨의 고향』, 중앙일보사, 1989
김태혁, 『한민족 성씨의 역사』, 보문서원, 2015
〈참고사이트〉
통계청 홈페이지
위키 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