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양행에 따르면 유일한柳一韓 박사는 일찍부터 기업의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고 기업경영으로 축적한 부를 사회에 환원한 인물로, 사회 고위층에게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도덕적 의무인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를 실천했다. 최근 IT기업 리더의 잇따른 재산 기부가 이어지는 가운데 반세기를 앞서 우리 사회의 기부 문화가 뿌리 내리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평가 역시 계속되고 있다.
유박사는 9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미국 유학을 떠나 큰 성공을 거뒀지만 이를 뒤로하고 1926년 31세가 되던 해에 귀국해 국민건강 향상과 교육을 통한 기술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유한양행을 설립했다. 그는 '기업은 사회의 것'이라는 일념으로 1936년 유한양행을 주식회사체제로 전환했고 1939년에는 우리나라 최초로 종업원지주제를 채택했다. 국내에서는 두 번째로 주식공개를 단행(1962년)했고 1969년에 이미 경영권 상속을 포기하고 전문 경영인에게 사장직을 물려줬다.
유한양행은 1969년 이후 52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평사원 출신의 전문경영인을 선출하고 있다. 현재 약 1900여명의 유한양행 임직원들 중 유일한 박사의 친인척은 단 한 명도 없다. 이처럼 기업의 소유와 경영을 분리한 유일한 박사는 '기업에서 얻은 이익은 그 기업을 키워준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는 원칙하에 나라 발전을 위한 인재 양성에 기업이윤을 투자했고 장학 및 교육사업도 활발히 전개했다. 그는 자신이 사망한 후 공개된 유언장을 통해서도 우리 사회에 귀감이 됐다. 장남 유일선씨에게는 "대학까지 졸업시켰으니 앞으로는 자립해서 살아가라"는 유언과 함께 유일선씨의 딸이자 자신의 손녀인 유일링(당시7세)양의 학자금으로 1만달러만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