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루묵의 유래-全州李씨
도루묵은 먼바다에서 돌아와 연안에 알을 낳는 11~12월이 제철이다. 제철의 ‘도루묵’은 먹으면 입안에서 알이 톡톡 터져 특유의 고소함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비린내가 거의 없고 살이 연하고 담백해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생선이다. '말짱 도루묵'의 유래는 조선 시대 이의봉李義鳳이 편찬한 '고금석림古今釋林'과 조재삼趙在三이 지은 '송남잡지松南雜識에 전해진다. 조선 14대 임금 선조가 임진왜란으로 인해 떠난 피난지에서 ‘묵’(목어)이란 이름의 생선 맛을 보면서부터였다. [처음 먹어 본 묵은 별미였다. 선조는 “이렇게 맛있는 생선의 이름을 ‘묵’이라 부르는 것은 너무 초라하다”면서 ‘은어’라는 이름을 내렸다. 훗날 선조는 환궁해 피난처에서 먹었던 은어 맛이 생각나서 이를 상에 올리게 했다. 궁궐 산해진미에 빠져 있던 선조의 입맛에 그 맛이 변변할 리 없었다. 이에 선조는 “도로 묵이라고 해라”고 명했다. 그래서 ‘도로 묵’, 지금의 ‘도루묵’이 됐다는 설]이 있다.